부동산 개발사업의 평가절차는 크게 조사단계,분석단계 및 종합의견의 세가지 단계로 구분할 수 있으며, 부동산사업 평가 절차에 있어 다른 사업성 평가와의 차별성은 다음과 같다.
산업단지 타당성검토 평가절차
조사단계
평가범위 및 기간설정
자료수집 및 예비검토
구체적인평가전략수립
사업부지방문 및 조사
분석단계
사업화능력
시장상황분석
입지분석
경제성분석
종합의견단계
민감도분석
사업성유무결정
기타
첫째
일반사업과 달리 산업단지 타당성검토에 대한 사업성 평가에 있어 조사단계가 매우 중요하다. 즉, 부동산의 특성상 사업부지가 속해 있는 곳을 방문, 입지 및 주변 환경조사가 필수적이며, 사업허가 등 관련법규상의 위험을 파악, 검토하는 것은 사업의 추진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으므로 매우 중요한 평가단계이다.
둘째
분석단계에 있어 사업 시행사 뿐만 아니라 건설을 담당하는 시 공사에 대한 과거실적, 신용상황 및 업계 내 에서의 수준을 검토하는 것이 사업화 능력 판단의 주요 평가요소가 된다. 또한, 경제성 분석의 경우 금리, 분양가, 공사비 및 사업비 등에 대한 적정성 여부를 근거로 사업 전체에 대한 수익성을 판단하게 되는데, 분양 및 임대에 있어 크게 영향을 미치는 금리 등의 경우 사업시행자가 통제할 수 없는 거시 경제변수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확 한 판단이 필수적 으로 선행되어야 한다.
셋째
종합의견단계에 있어 산업단지 타당성검토의 경우 다른 사업에 비하여 수익성에 영향을 주는 변수가 상대적으로 뚜렷하고 사업성 유무에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는 변수의 경우 3~4가지로 압축될 수 있어 동 요인에 대한 충분한 stress testing을통하여 발생 가능한 상황을 모두 도출하고 이를 근거로 사업성 여부에 대한 최종 의견을 표명한다.